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27

나라별 커피 등급 3 예멘과 아프리카 ① 예멘 -고급 아라비카종의 대명사인 모카의 고향 -자연건조법으로 가공하여 작고 품질이 균일하지 않지만 마타리와 사나니는 향기가 뛰어난 명품으로 스페셜 티 커피에 사용 ②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 하라는 자연건조법으로 가공한 커피콩으로 와인의 신맛과 과실향을 지닌 고급품이여서 스페셜 티에 사용 -남쪽 지역에서 생산하는 짐마와 시다모도 자연건조법으로 가공한 커피콩으로 모카의 특징을 지닌다 시다모 중에서 일부 물세척법으로 가공하기도 함 -모카커피 : 예가체프, 시다모, 하라 ③ 케냐 -아라비카종인 고급 마일드종 수출, 버번과 켄트 -물세척법으로 가공 -품질등급은 크기에 따라 분류 -스크린#17-18은 AA, 스크린#15-16은 AB, 스크린#14이하는 C -특급품을 케냐AA로 표시 ④ 탄자니아.. 2021. 6. 4.
나라별 커피 등급 2 남아메리카 ① 콜롬비아 -생두의 사이즈에 의한 분류 - 스크린#17 이상은 수프레모, 스크린#14-16은 엑셀소 -스프레모 - 스페셜티 커피에 쓰는 최고급 -엑셀소(수출용표준등급, 하급은 수출하지 않는다 -물세척법으로 가공, 커피콩은 마일드종을 대표하며 청록색을 띠고 향기와 신맛 -달콤한 맛이 풍부해서 스트레이트 커피에 사용 ② 에콰도르 ․ 페루 -아라비카종을 생산한는 중견국가 -신맛이 약함 -페루의 찬찬바요가 세계적으로 유명 ③ 브라질 -생산량의 80%가 아라비카 종이지만 저지대에서 대량 재배하여 마일드종과 달라서 브라질종으로 따로 분류 -대부분 자연건조법으로 가공 -1/64inch 단위로 구멍 크기가 분류된 체를 써서 커피콩의 크기 등급을 매기고, 결점두가 섞인 정도에 따라 품질을 8등급으로 나눈다 .. 2021. 6. 4.
나라별 커피 등급 1 나라별 커피등급 및 평가 중앙아메리카와 카브리해 ① 멕시코 -세계 5위의 커피생산국 -재배지의 고도에 따라 품질등급을 매김 -SHG > HG > prime washed *SHG(Strictly High Grown) -아라비카종의 주요생산지로 알추라는 최고급 커피콩을 생산 -고지대에서 재배하여 물세척법으로 가공 ② 과테말라 -품질등급은 재배지의 고도에 따라 7등급으로 나뉨 -SHB > HB > semi-HB > extra prime washed > prime washed > good washed -아라비카종을 꾸준히 재배 *SHB(Strictly Hard Bean) -화산재 토양으로 인해 독특한 향미를 가진 커피가 생산-안티구아 ③ 온두라스 ․ 엘살바도르 ․ 니카라과 -품질등급은 재배지의 고도에 따라 SH.. 2021. 6. 4.
얀센 백신 공급 지난 한미정상회담의 후속 진행으로 얀센백신 100만 회분이 한국으로 떠난다고 합니다. 한국에 대한 미국의 백신 지원은 주한미군 보호를 위한 특별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한국에 제공을 약속한 100만 회분의 얀센 백신이 캘리포니아에서 항공기에 실려 오늘 저녁 한국으로 떠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미 한국은 얀센백신 예약접종을 모두 마친 상황입니다. 이러한 한국의 발빠른 상황을 보면 외신들은 한국이 역쉬 아이티강국이기에 예약시스템의 전문적인 활용을 빛을 발하는 결과라는 찬사가 나오고 있습니다. 미국이 백신을 직접 공급하는 나라는 한국 외에 캐나다, 멕시코, 인도 등 4개국 뿐이라고 합니다. 이중 미군이 주둔한 나라는 한국이 유일합니다. 한미동맹의 끈끈함을 보여주는 모습이기도 합니다. 설리반.. 2021. 6. 4.
반응형